뉴스/일상 팁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가격과 신청방법 완전정리 2025

오치리 2025. 5. 2. 19:30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가격과 신청방법 완전정리 2025

청각장애로 인해 보청기 착용이 필요한 경우, 정부에서는 일정 조건을 갖춘 대상자에게 보청기 구입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시행되며, 기준을 충족할 경우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최대 131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보조금 금액은 건강보험 가입 유형(건강보험/의료급여) 및 장애등급에 따라 달라지며, 보청기 종류와 업체에 따라 실제 본인부담금도 차이가 납니다. 이 글에서는 보청기 보조금 지원 가격과 신청 방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 대상자

보청기 보조금은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장애 정도는 경증(청각장애 6급)부터 중증(2급 이상)까지 포함되며, 반드시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청각장애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지원은 한쪽 귀 기준으로 제공되며, 양쪽 보청기를 사용할 경우 각각 신청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된 사람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모두 가능하며, 단 5년에 1회만 지급됩니다. 따라서 수령 시점부터 5년이 지나야 다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보조금 지원 금액

2025년 기준,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한쪽 귀 기준으로 최대 **131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이는 기준액 131만 원에서 본인부담금 없이 전액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구매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영수증과 처방 내역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에는 기준액 전액이 지급되며, 대부분 무료로 보청기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0만 원짜리 보청기를 구입하면 건강보험 대상자는 약 29만 원 정도를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보청기 종류와 가격 차이

보청기는 크게 귓속형, 귀걸이형, 오픈형 등으로 나뉘며, 기능과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큽니다. 보조금 지원 대상이 되는 보청기는 반드시 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제품이어야 하며, 등록된 제품은 대체로 **130~160만 원** 사이입니다. 고급형, 충전형,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제품 등은 200만 원이 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본인 부담금이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보조금 대상 제품 중에서 성능과 예산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청기 보조금 신청 절차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먼저 이비인후과에서 청력검사를 받고 보청기 처방전을 발급받습니다. ② 이후 등록된 보청기 업체에서 제품을 구입하고 영수증 및 견적서를 수령합니다. ③ 다시 병원에 방문해 보청기 검수 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④ 모든 서류를 준비해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하면 심사 후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신청 시 필요서류는 장애인 등록증, 보청기 처방전, 검수확인서, 구매영수증, 제품사양서 등이며, 보조금은 평균적으로 1~2개월 내에 지급됩니다.

주의사항과 추가 팁

보청기를 구입하기 전에 반드시 공단 등록제품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사전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상담을 통해 등록 제품 리스트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부 비양심 업체의 과도한 고가 판매 및 강매 사례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품 인증과 A/S 기간도 반드시 체크하세요. 제품을 착용하고 일정 기간 사용 후 불편 사항이 있다면 교체가 가능한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보청기 전문점에서는 무료 청력검사 및 상담을 제공하는 곳도 많으므로 여러 곳을 비교해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요약

보청기 보조금은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5년에 1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건강보험 가입자는 한쪽 귀 기준 최대 131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등록 보청기 가격은 130만 원대가 대부분이며, 고급형 선택 시 본인부담금이 커질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는 병원 처방, 제품 구입, 검수 확인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서류 제출로 이뤄집니다.
구매 전 공단 등록 제품인지 확인하고, 업체 비교와 사후관리 조건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